[replit]Replit 이용 시 Github 연동하기!
최근에 친구들이랑 백준 알고리즘 스터디를 했는데, 백준은 자체 IDE를 제공하지 않아서 평소에 사용하던 google colab으로 할까 싶었는데!!! colab의 최대 단점을 발견해버렸다.
colab에서는 sys.stdin.readline() 이 작동하지 않는다! 그냥 안된단다..
그래서 괜찮은 IDE를 찾았는데 그것이 바로 replit!
룰루랄라 replit 잘 쓰고 있었는데, replit에서 바로 github랑 연동할 수는 없을까? 하고 생각했다. 역시나 방법은 존재했다!(역시 똑똑하신 분들이 세상을 편하게 만든다!!!)
자 본격적으로 연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1. replit 접속
The collaborative browser based IDE
Replit is a simple yet powerful online IDE, Editor, Compiler, Interpreter, and REPL. Code, compile, run, and host in 50+ programming languages.
replit.com
2. replit account로 이동
- 왼쪽 상단 닉네임 클릭 후 Account 클릭!
3. 스크롤을 내려서 Connected services에 github connect!
- 저는 connect 되어있어서 Disconnect가 뜨네요
4. Github에서 replit과 연동할 repository 만들기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65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 Repository name을 쉽게 정하고, public으로 설정!
- create repository
5. Replit에서 repository와 연동
1) Create Repl 클릭
2) repository 연동
- Import from Github 클릭
- 연동할 Github URL을 선택 후 Import
3) 언어 선택
- 사용할 언어 선택(필자는 python)
- Done
6. 폴더 및 프로젝트 만들기
1) 폴더 만들기
- Files 오른쪽 Add file/ Add folder 중 필요한 것을 선택해 만든다.
2) python 프로그램 만들기
- Add file을 사용하여 py파일을 만든다.
3) 코딩
7. 실행하기
-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여 replit_test.py가 들어있는 파일로 들어가서 실행한다.
- pwd : 현재 위치 확인
- cd : 디렉터리 위치 변경
- ls : 현재 디렉터리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확인
- clear : Console 창 초기화
✏️ 다음에는 replit 내용을 github에 commit 방법을 업로드할게요!!
봐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