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덱스 매핑2

[ELK] 7. elasticsearch 인덱스 매핑과 데이터 타입(2) - 날짜, 객체, 위치 정보 날짜 - Date Elasticsearch 에서 날짜 타입은 ISO8601 형식을 따라 입력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입력된 경우 자동으로 날짜 타입으로 인식이 됩니다. 위와 같은 ISO8601 형식이 아니라 "2019/06/12 12:10:30" 와 같이 입력하면 보통은 text, keyword 로 저장됩니다. 이 외에도 1550282065513 와 같이 long 타입의 정수인 epoch_millis 형태의 입력도 가능합니다. epoch_millis 는 1970-01-01 00:00:00 부터의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카운트 한 값입니다. 필드가 date 형으로 정의된 이후에는 long 타입의 정수를 입력하면 날짜 형태로 저장이 가능합니다. "2019/06/10 12:10:30" 같은 형.. 2022. 6. 28.
[ELK] 6. elasticsearch 인덱스 매핑과 데이터 타입(1) - 문자열, 숫자 동적(Dynamic) 매핑 Elasticsearch 를 활용하면서 가장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 매핑 설정입니다. Elasticsearch 는 동적 매핑을 지원하기 때문에 미리 정의하지 않아도 인덱스에 도큐먼트를 새로 추가하면 자동으로 매핑이 생성됩니다. # books 인덱스가 없는 상태에서 도큐먼트 입력 PUT books/_doc/1 { "title": "Romeo and Juliet", "author": "William Shakespeare", "category": "Tragedies", "publish_date": "1562-12-01T00:00:00", "pages": 125 } books 인덱스의 매핑을 확인해 보면 각 필드의 매핑이 자동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ET books/_.. 2022. 6. 28.